임신을 하면 자연스레 면역력이 약해져요. 그래서 감기에 잘 걸리고 또 쉽게 낫지 않지만, 뱃속의 아이를 생각하면 함부로 약을 먹을 수도 없죠.
임신 중 감기에 걸렸을 때는 어떤 약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할까요? 약을 먹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떤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지도 함께 알아봐요.
감기로 인해 열이 나면 태아에게 영향을 미쳐 기형이나 조산을 일으킬 수 있어요. 또 기침을 자주 하면 폐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만약 입덧과 감기가 동시에 오게 되면 음식물 섭취가 어려워 회복이 쉽지 않죠. 그렇기 때문에 감기 증상이 있다면 방치하지 말고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해요.
임신 중 감기에 걸리면 내과나 이비인후과보다는 임산부가 복용하면 안 되는 약물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산부인과를 방문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임신 중 복용해도 괜찮은 대표적인 약으로 '타이레놀'이 있어요.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약들은 필요할 때 단기간 동안 소량을 복용해도 괜찮아요.
이외에도 안전한 성분들이 있지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약에는 여러 성분들이 섞여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사 또는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약을 선택해야 해요. 그리고 약 복용이 필요한 경우라면 소량으로 단기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해요.
🚨 임신 중 주의해야 하는 약
임신 20주 이후에 '이지엔 6'와 같은 이부프로펜 계열, '탁센'과 같은 나프록센 계열의 약들을 복용하면 태아의 성장 지연이나 신장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어요.
약을 복용하지 않고 증상을 완화하고 싶다면 꾸준히 면역력을 관리해 주는 것이 좋아요. 가벼운 운동과 함께 영양소도 골고루 섭취해야 해요.
• 하루 30분 정도 걷기
• 충분한 수면
• 가습기 등으로 습도 조절하기
• 물 많이 마시기
• 균형 잡힌 식단
• 비타민 C 챙기기 (하루 권장량 : 110mg)
💉 임신 중에 독감주사를 맞아도 될까요?
독감 예방접종이 임산부와 태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없다고 알려져 있어요. 임신 중 예방접종을 할 경우 태아에게도 항체가 전달되어 신생아 시기의 독감을 예방해 줄 수도 있고요.
🗓 언제 독감주사를 맞는 것이 좋을까요?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들을 포함해 모든 임산부는 분만 날짜와 상관없이 어느 시기에나 접종이 가능해요. 접종의 효과는 5-6개월 정도예요. 임산부 대상 국가 무료접종은 9-10월에 시작되니 참고하세요!
임신 중에는 약물 사용을 조심해야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약물을 피하거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산부와 태아에게 문제가 될 수 있어요.
감기 증상이 나타나면 망설이지 말고 언제든 간편하게 닥터벨라 앱으로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비대면 진료받으세요!